장경왕후 (고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장경왕후는 고려 의종의 비로, 강릉공의 딸이며, 어머니는 김씨로 추정된다. 의종과 혼인하여 효령태자를 낳았으며, 흥덕궁주에 봉해졌다. 효령태자를 낳기 전 아들을 낳으면 금은자로 화엄경을 만들겠다는 맹세를 지켜 2부를 필사하여 흥왕사에 보관했다. 언제 사망했는지는 기록이 없으며, 능은 의종과 함께 희릉에 묻혔으나 위치는 알 수 없다. 1253년에 시호에 혜자가 더해졌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고려의 왕비 - 희비 윤씨
희비 윤씨는 고려 충혜왕의 후궁이자 충정왕의 생모로, 아들 충정왕이 왕위에 오르면서 외척인 민씨 가문이 권력을 얻었으며, 조선 시대에는 조선 왕실에 영향을 미친 파평 윤씨 가문 출신이다. - 고려의 왕비 - 순화원비
고려 충선왕의 비인 순화원비는 남양 홍씨로 남양부원군 홍규의 딸이자 공원왕후의 언니이며 자녀는 없었고, 그녀의 생애에 대한 자세한 기록은 《고려사》에 남아있지 않다. - 무신정권 - 원종 (고려)
원종은 고려 고종의 장남으로 몽골과의 강화 조약을 위해 원나라에 갔다가 즉위하여 원나라의 속국이 되었으며, 임연의 쿠데타와 삼별초의 항쟁을 겪고 개경으로 환도한 후 1274년에 사망했다. - 무신정권 - 삼별초의 항쟁
삼별초의 항쟁은 최씨 무신정권의 군사조직인 삼별초가 원종의 친몽 정책과 해산 명령에 반발하여 1270년 강화도에서 시작, 배중손을 중심으로 왕족 왕온을 왕으로 추대하며 진도와 제주도에서 3년간 고려-원 연합군에 맞서 싸웠으나 1273년 진압되어 고려의 몽골 지배 강화와 원의 제주도 직접 통치를 가져왔으며, 민족적 저항의 상징으로 평가되지만 무신정권의 잔재라는 비판도 있다. - 생몰년 미상 - 유급
유급은 전한 말기에 신양후에 봉해졌으나, 전한 멸망으로 작위를 잃은 유영의 아들이다. - 생몰년 미상 - 야스케
야스케는 16세기 일본에 기록된 최초의 아프리카인으로, 오다 노부나가의 가신으로 특별한 대우를 받았으며, 혼노지의 변에서 함께 싸웠으나 이후 행적은 불확실하고, 다양한 대중문화 작품에서 소재로 활용된다.
장경왕후 (고려)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직위 | 고려의 왕후 |
배우자 | 의종 |
자녀 | 1남 3녀: 효령태자,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궁주 |
출생 | 1129년 |
사망 | 미상 |
묘소 | 희릉 |
시호 | 혜자장경(惠資莊敬) |
별호 | 경순왕후(景順王后) |
왕후 책봉 | 1146년 |
본관 | 강릉 김씨 |
종교 | 미상 |
생애 | |
출생 | 1129년에 강릉공 왕온과 강릉 김씨 사이에서 태어남. |
책봉 | 1143년에 태자비로 책봉되었고, 1146년에 왕후로 책봉됨. |
별칭 | 1151년부터 흥덕궁주(興德宮主)로 불림. |
가계 | |
아버지 | 강릉공 왕온 |
어머니 | 강릉 김씨 |
배우자 | 의종 |
자녀 | 효령태자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궁주 |
기타 | |
재위 기간 (태자비) | 1143년 ~ 1146년 |
재위 기간 (왕후) | 1146년 ~ 1170년경 |
2. 생애
의종보다 먼저 사망하여 시호는 '''경순왕후'''(景順王后)가 되었다.[5] 1253년 혜자(惠資)라는 시호가 추가되었다.
2. 1. 가계와 혼인
문종의 손자인 강릉공 왕온의 딸로 태어났으나, 왕실과 같은 성을 쓰지 않기 위해 어머니의 성을 따라 김씨라고 하였다. 다만 왕비로 책봉된 후에도 한동안 왕씨를 칭했던 것으로 보인다.[4] 당시 왕태자였던 의종과 혼인하였는데, 여동생인 광정태후와 선정태후 또한 각각 익양후(명종)와 평량공(신종)과 혼인하였다.아버지 강릉공은 문종의 손자이며, 어머니는 기록이 전무하여 확인할 수 없으나, 장경왕후 자매들이 왕비가 된 후에 김씨 성을 사용하는 점으로 보아 김씨로 추측된다. 장경왕후의 조모와 증조모 모두 인주 이씨이기 때문이다. 강릉공과 강릉 김씨 부인 김씨의 둘째이자 장녀로 태어났으며, 아버지 쪽으로 문종의 증손녀였다. 사촌의 재종형인 의종과 결혼하여 그의 정비가 됨으로써 왕후가 되었다.[2]
2. 2. 왕비 시절
강릉공(江陵公) 왕온(王溫)의 딸로 태어났으나 왕실과 동일한 성을 피하기 위해 모계를 따라 김씨라 하였다. 단, 왕비로 책봉된 후에도 한동안 왕씨를 칭했던 것으로 보인다[4]. 당시 왕태자였던 의종과 혼인하였으며, 의종이 인종의 뒤를 이어 즉위한 이후에 흥덕궁주(興德宮主)로 책봉되었다.[5]의종이 태자였을 때 혼인하였으며, 1149년(의종 3년) 효령태자를 낳았다. 1151년(의종 5년) '''흥덕궁주'''(興德宮主)에 봉해졌다. 효령태자 이외에도 경덕궁주, 안정궁주, 화순궁주 등 세 명의 공주를 낳았다.[2]
효령태자를 낳기 전에, 장경왕후와 의종은 아들을 낳으면 금은자(金銀字)로 화엄경 4부를 만들겠다고 맹세하였는데, 이후 원자가 태어나자 1156년(의종 11년), 2부를 필사하여 흥왕사 홍교원에 장서하고, 크게 법회를 열어 낙성식을 거행하기도 하였다.
2. 3. 사망
장경왕후는 언제 사망하였는지 기록이 없어 알 수 없다. 능은 희릉으로 의종과 함께 묻혀있으나 위치가 실전되어 소재를 알 수 없다.[5]1253년 10월 (고종 재위 40년) 그녀의 시호에 '''혜자'''가 더해졌다.
3. 가족 관계
관계 | 이름 | 출생 - 사망 | 비고 |
---|---|---|---|
아버지 | 강릉공 왕온 | 1090년 ~ 1146년 | 문종의 손자 |
어머니 | 강릉 김씨 | 1090년 ~ ? | 기록 없음, 김씨로 추정 |
맏형 | 공화후 왕영 | 1126년 ~ 1186년 | 인종의 딸 승경궁주와 혼인 |
남동생 | 왕작 (王鷟) | 1129년 ~ ? | |
여동생 | 의정왕후 | 1132년 ~ 1170년? | 명종의 비 |
여동생 | 개성 왕씨 | 1135년 ~ ? | |
여동생 | 선정왕후 | 1137년 ~ 1222년 | 신종의 비 |
남편 | 의종 | 1127년 5월 23일 ~ 1173년 7월 7일 | |
딸 | 경덕궁주 | 1147년 ~ ? | 사공 왕평(司空 王評)에게 하가 |
딸 | 안정궁주 | 1148년 ~ ? | 함녕백 박(咸寧伯 璞)에게 하가 |
아들 | 효령태자 | 1149년 6월 4일 ~ ? | |
딸 | 화순궁주 | 1150년 ~ ? | 광릉공 면(廣陵公 沔, ?~1218)에게 하가 |
4. 평가
(요약 및 원본 소스가 제공되지 않아 해당 섹션 작성이 불가합니다.)
5. 대중 매체에서의 등장
참조
[1]
간행물
2009
[2]
웹사이트
http://db.history.go[...]
2021-09-10
[3]
서적
Goryeosa, Volume 17, Uijong's 3rd year, April 1152: "戊寅 '''王妃王氏'''生元子".
[4]
서적
《고려사》권17〈세가〉권17 의종 3년 4월 "戊寅 '''王妃王氏'''生元子."
[5]
웹사이트
《고려사》권64〈지〉18
http://db.history.go[...]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